채식은 나를 건강하고 상쾌하게 해준다


채식주의 3모자이크.png

소크라테스 가상 인터뷰

wy 0 2018.11.30

 

소크라테스 동상.gif


소크라테스 BC 469 –399 

 

Q: 선생님이 하신 말씀 "너 자신을 알라" 는 모르는 사람이 없는데, 그 말의 의미는 어렵습니다.

 

A: 그동안 그리스 철학의 주요 과제는 우주의 법칙이나 신의 뜻을 알고자 하는 거였소. 

그런데 인간이 먼저 인간을, 특히 본인 자신을 아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고 나는 생각했어요.

 

Q: 실례의 말씀이지만 어느 가수의 노래 가사 중 "내가 나를 모르는데 난들 너를 알겠느냐"라는 가사가 있습니다.

이 만큼 자기를 안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닐까요?

 

A: 그 가수가 누구인지는 모르지만 좋은 가사군요

자신를 알려고 해 보면 자신을 알기가 어렵고, 또 자기는 아는 것이 별로 없다는 것도 알게 되지요.

이것을 아는 것이 진리를 탐구하는 첫 걸음이 되는 거에요.

"너 자신을 알라" 는 말이 인간 위주의 철학과 사고를 강조 한 것인데 사실 이 말은 내가 한 건 아니고 나의 좌우명이었소.

원래 그리스 델파이 신전에 써 있는 말인데 누가 처음 했는지는 확실치 않아요.

Q: 선생님은 평생 채식을 하셨지요?

A: 그랬지요. 만약 우리가 육식을 계속 추구한다면 여러 문제점이 있을 거요

내가 제자 글라우콘과 나눈 대화가 있는데 여기 소개하도록 하지요.

 

소크라테스: 육식을 한다는 것은 불과 몇 시간 전까지 하나의 생명체로 여기고, 그들의 눈 속에 우리 자신을 비추어 본 동물을 죽이는 게 아닌가?

글라우콘: 그렇습니다.

소크라테스: 생명체를 물건으로 전락시키는 이런 행위로 인해, 우리가 행복을 성취하는 데 방해가 되지 않겠는가?

글라우콘: 우리의 행복 추구에 방해가 될 것입니다.

소크라테스: 이런 생활 방식을 추구한다면 병원에 더 자주 가야 하지 않겠는가?

글라우콘: 네 그렇습니다.

소크라테스: 우리가 육식 습관을 추구하고 이웃들까지 이를 따라 한다면, 서로가 부족한 목초를 확보하기 위해 전쟁을 일으키지 않겠는가?

글라우콘: 그것을 피할 수 없겠군요.

소크라테스: 우리가 이렇게 욕망을 추구한다면 행복을 이룰 수 없고, 올바른 사회도 이룰 수 없지 않겠는가?

글라우콘: , 이룰 수 없겠군요.

 

Q: 말씀마다 선생님 특유의 대화체로 이루어져 너무 공감이 갑니다.

이미 2500년 전에 생명, 행복, 건강에 대해 이러한 말씀을 주셨는데, 저희가 선생님 말씀을 따르지 못합니다.  


A:
요즘 세계적으로 채식 운동이 많이 일어나고 있어서 다행이요.

 
이제 육식으로 인한 환경문제도 심각한 수준이 되었더군.

Q: . 요즘 만들어진 '채식의 노래, 라는 곡이 있는데 가사가 선생님의 말씀을 보고 쓴 것 같습니다

채식은 나를 건강하고 상쾌하게 해준다. 기름진 음식보다 신선한 야채
단백질도 현미나 두부로 충분고운 피부 웃는 얼굴 채식 가족
우리 모두 오늘도 즐거운 채식

채식은 지구 물과 공기 깨끗하게 해준다. 가축들 뿜어내는 메탄가스가   
자동차 메탄가스 만큼 많구나지구 환경 개선해요 채식 가족
우리 모두 오늘도 즐거운 채식.   

채식은 사랑 살려 하는 생명들을 살린다도살장 송아지가 눈물 흘리고
부리 잘린 닭들은 축 늘어졌네생명 사랑 실천해요 채식 가족
우리 모두 오늘도 즐거운 채식.

 

A:  노래를 들어보고 싶으니 다음에 한 번 불러봐요.

Q: 지금 유투브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Q0tNbo99w6k


Q: 다음으로 잘 알려진 말씀은 "악법도 법이다" 라는 말씀입니다.

독배를 마시기 전 하신 말씀이라는데 아직까지 해석이 분분합니다.

A: 내가 재판을 받으며 사형이 확정될 때, 탈출을 제안한 친구 크리톤에게 "악법도 법이다'(Dura lex, sed lex)"라고 했다고 알려졌는데, 사실 그런 말을 하지는 않았어요.

당시 법원이 나에게, 나의 소신을 철회하면 살려준다고 했을 때, 나는 그렇게 할 수 없다고 했고, 또 재판 과정을 부정하지 않는다는 말이 이렇게 해석된 것 같군요.

소크라테스 독배.jpg

독배를 마시는 소크라테스

사실 나에게 내려진 사형판결은 소수의 사람이 밀실에서 만들어 낸 판결이 아니었소. 

그 판결은 당시의 인민 재판식 배심제에 의하여 공개적으로 그리고 적법한 절차를 밟은 것이었소.

나는 당시 아테네 최고의 지성인이자 정신적 지도자로 추앙 받고 있었으며, 시민들과 끊임없이 토론을 하여 그들의 무지를 일깨우고자 노력했었지.
 
 
이는 그 재판에서도 마찬가지였고, 수 백명의 배심원들을 상대로 내 철학을 설파 하였소.

 따라서 비록 내가 아무리 옳다고 하여도, 아테네 시민들의 다수는 나를 거부한 것이 확실하였지요.

그런 마당에 과연 '너희들이 틀리고 내가 옳으니까 나는 유죄판결에 동의할 수 없다'라고 주장 할 수는 없었지요.

결국 내가 당시 아테네의 스승을 자처하며, 시민들의 무지를 일깨우는 것을 사명으로 생각한 나의 실패를 자인한 것이었소.

Q: , 선생님의 설명을 들으니 시대 상황이 조금 이해가 됩니다.

사실은 악법도 법이다라는 말씀을 선생님이 하셨다고 널리 알려진 것은, 일본 강점기 경성제국대학 법학부 교수 '오다카 도모오'(尾高朝雄)의 영향이 컸습니다.

그는 1937년에 펴낸 『법철학(法哲學)』에서 ‘실정법주의’를 주장하면서 소크라테스가 독배를 든 것은 실정법을 존중하였기 때문이며, “악법도 법이므로 이를 지켜야 한다.”고 했습니다.

‘실정법주의’는 현행 법률이 완전무결하다는 전제에서 출발한 독일의 법사상인데, 일본도 이를 중요시 했었지요..

오다카교수는 경성제국대학 시절 한국인 제자들을 많이 양성했고, 그의 제자들이 해방 이후 한국 법학계의 중심인물이 되었습니다.

그러니까 정확히 말하면 악법도 법이다라는 말은 선생님이 독배를 마신 것에 대한  오다카의 해석에서 나온 말입니다.

한국에서는 유신헌법이나 제5공화국 헌법을 지지하던 사람들이 좋아했던 말이기도 하지요.

A: 한국사람들이 내가 그런 말을 한 적이 없다는 것을 많이 알면 좋겠소.

 

Q: 이번에는 죄송하지만, 선생님은 악처를 둔 분으로도 잘 알려졌습니다.

A: 오랜만에 집에 돌아온 나에게 아내인 크산티페가 소리를 지른 후 물을 끼얹었을 때, 내가 천둥 친 후 비가 온다고 했다는 일화 때문에 특히 그런 것 같소. ㅎㅎ

나는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용모가 준수하지 못했고, 석공으로 가난하게 살았지.

50이 다 된 나이에 30살 정도 어린 그녀와 결혼한 나는 돈을 받아야만 학문을 가르치던 소피스트들을 비난했소.

그러면서 집안 일에는 전혀 무관심했고 돈도 별로 벌지 못하고, 낮에는 파르테논 신전 건설 현장에서 돌을 다듬었고, 해가 저물면 주변 사람들과 밤새도록 토론을 하였다오. 

그러니 아내의 입장에서는 별로 탐탁하게 생각하지 않았겠지.ㅎㅎ

Q: 선생님은 어떤 책도 쓰지 않으셨고 제자 중 플라톤이 쓴 "변명"이 선생님의  철학을 가장 잘 나타냈다고 하는데요..

A: "변명"을 플라톤이 쓸 때는 아테네가 펠로폰네소스 전쟁에서 스파르타에게  패배하였을 때였지요

이 전쟁에서 스파르타는 과두정치를 대표했고, 아테네는 민주정치를 대표했기 때문에 어떤 의미에서 민주정치의 한계를 보여준다고도 할 수 있었소.

"
변론"에서 내가 유죄를 선고 받고 죽게 되는 것을 보면서, 당시 20대인 플라톤은 민주정치가 우매한 대중에 의해 휩쓸리기 쉽다는 것을 보고, 민주정치를 비판하면서  분개하였지.

그는 철인들이 정치를 하는 소위 귀족주의 정치가 바람직하다고 생각했소.

Q: 당시  선생님이 비판하시던 소피스트들은 어떤 사람들인가요?

A: 소피스트들은 모든 진리는 상대적이고 절대적인 진리는 없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인데, 즉 모든 현상은 귀에 걸면 귀거리 코에 걸면 코거리 라는 식이지요.

그들에게 지식은 잘 사는 지혜이기 때문에 돈을 내고 배워야 한다고 했으며, 정의나 진리도 말 잘 하는 사람 편임으로 웅변이나 변론을 잘 하는 방법이 가장 중요하다고 했지요.

그들은 "인간은 만물의 척도다."  "권력이 정의를 만들어낸다" 라는 말들을 했어요.

Q: , 지금도 그런 소피스트들이 많고, 어떤 면에서는 그들이 세상을 더 현실적으로 사는 것 같습니다.

 
선생님은 절대적인 진리를 탐구하시며, 아테네의 젊은이들을 평생 가르치고 사랑하셨는데, 그들에게 사형언도를 받았습니다

기소 죄명은 아테네의 신을 믿지 않고, 젊은이들을 미혹, 타락 시킨다는 것이었지요.

그 후 공자님,  부처님,  예수님과 더불어 세계 4대 성인으로까지 추앙 받으십니다.

A: 나는 책을 한 권도 직접 쓰지 않았지만, 내 사상이  나의 수제자 플라톤에게 그대로 이어져 서양철학의 시발점이 되었다는 관점에서 그렇게 된 것 같소이다.

소크라테스 동상1.jpg

아테네 광장의 소크라테스

Q:  선생님은 동양에서의 공자님처럼 서양 철학에서는 절대적인 분이시지요.

20
세기 철학자인 '화이트 헤드'가 "서양의 모든 철학은 플라톤의 각주"라고 했습니다.

저도 제 생활을 돌아보면, 선생님의 진리 탐구의 철학보다는 소피스트에 더 가까운 것 같습니다.

2500년 전에 제가 아테네의 시민이었다면 과연 선생님의 사형에 반대 했을지 잘 모르겠습니다.  

역시 저 자신을 알기가 힘드네요.  

감사합니다 

 

 

 

State
  • 현재 접속자 6 명
  • 오늘 방문자 157 명
  • 어제 방문자 118 명
  • 최대 방문자 458 명
  • 전체 방문자 146,380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