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식은 나를 건강하고 상쾌하게 해준다


채식주의 3모자이크.png

소로우 가상 인터뷰

wy 0 2019.05.08

 

 

소로우.png

 Henry David Thoreau 1817-1862

 

Q: 선생님을 생각하면 먼저 수필집 "월든"이 떠오릅니다.

 

월든은 어떤 책인가요?

 

A: "월든"은 나의 친우이자 멘토인 에머슨선생이 소유한 월든 호숫가의 오두막집 생활을 담은 수필집이에요.

 

월든책.png

 

1845년 7월부터 1847년 9월까지 내 손으로 집을 짓고 홀로 생활한 경험을 토대로 자연 속에서의 단순하고 자급 자족적인 삶에 대한 성찰을 담았지요.

 

‘자발적 고립’이라는 형식을 통해 인간의 그릇된 사고 방식을 지적한 이 책은 출간 당시 큰 호응은 없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20세기 환경 운동의 원천이 되었어요.

 

월든호수.png

월든 호수

 

Q: 네, 이후 많은 분들에게 큰 영향을 준 책입니다.

 

선생님은 채식을 하셨지요?

 

 A: 나는 당시 에머슨선생의 영향을 받아 채식을 하였소.

 

선생은 “당신이 방금 저녁 식사로 고기를 먹었다면 아무리 멀리 도살장을 철저하게 감춘다고 해도 당신은 도살의 공모자다." 라는 말씀을 하셨지요.

 

Q: 에머슨선생은 어떤 분인가요?  

 

에머슨.jpg

랠프 월도 에머슨   1804-1882

 

A: 그는 당시 유명한 철학자로서 시인이었고 하바드대학 신학부를 나오셨어요.

 

내가 존경했던 선생은 나보다 13살 위였지만 나보다 20년 후에 돌아가셨지요.

 

33년을 더 사셨는데 오랜 세월이 지나니까  큰 차이가 아닌 것 같네요..

 

그분은 동양 사상에도 밝았고, 편협한 종교적 독단이나 형식주의를 배척하였지요.

 

세속을 싫어하고 자연 속에서 사색을 쌓아 '문학적 철인'이라고 불리었는데 당시 미국의 사상계에 큰 영향을 끼친 초월주의 철학자였어요.

 

Q: 네. 소로우선생님은 45년의 짧은 생애에 많은 글을 쓰셨습니다.

 

A : 나는 1817년 매사추세츠의 콩코드에서 태어났어요.

 

내가 일생 동안 추구한 정신은 단순하고 금욕적인 삶이었지요.

 

 하버드 대학을 졸업하고 형과 함께 사립학교를 열어 잠시 교사 생활을 한 뒤 목수, 조경, 토지 측량 등 여러 가지 일도 잠시 하였어요.

 

 그러나 대부분의 시간을 산책하고 독서하며 생태학과 환경보호에 관한 책을 쓰며 보냈소.

 

Q: 선생님이 숲 속 작은 집에 들어가 사신 이유는 무엇인가요?

 

소로우집.png

 소로우가 살던 집 모형

 

 “내가 숲 속으로 들어간 것은 인생을 한 번 내 생각과 일치하게 살아보기 위해서였소.

 

또 삶의 본질적인 문제에 직면하여 인생이 가르치고자 한 것을 내가 배울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해서였지요.

 

그리하여 마침내 죽음에 이르렀을 때 내가 헛된 삶을 살았구나 하고 후회하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해서라고 할까..

 

Q: 선생님의 또 다른 유명 작품으로 '시민 불복종' 이 있지요?

 

A: 월든 호숫가의 통나무집에서 살던 나는 어느 날 구두를 고치러 마을에 갔다가 붙들려 감옥에 들어갔지요.

 

6년 전부터 인두세 납부를 거부해오고 있었는데, 이는 노예 제도를 허용하고 멕시코 전쟁을 일으킨 정부에 항의하기 위한 행동이었어요. 

 

내 친척 한 사람이 몰래 세금을 납부하는 바람에 단 하루 동안만 감옥에서 시간을 보냈지만, 이 사건은 나로 하여금 개인의 자유에 대립되는 국가 권력의 의미에 대해서 깊이 성찰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지요.

 

그로부터 3년 후 시민 불복종 이라는 책을 내게 됩니다. .

 

이 책도 오랜 기간 무관심 속에 방치되다가 톨스토이에게 발견되어 그의 사상에 획기적인 전환점을 만들어 주며 세상에 빛을 보게 되었지요.

 

Q: 그 책은 마틴 루터 킹의 흑인 민권 운동에 영감을 준 것으로 유명한 책입니다.   

 

지금 읽어도 요즘 나온 책 같은 부분이 많습니다.

 

A : 이 책의 내용 중 아래 글들이 종종 인용되고 있어요.

 

“우리는 먼저 인간이어야 하고, 그 다음에 국민이어야 한다”

 

“법에 대한 존경심보다는 먼저 정의에 대한 존경심을 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Q: 네, 저도 들어본 적이 있는 말씀 들입니다.

 

그런데 선생님은 일부러 가난하게 사셨나요?

 

A: 가난하게 사는 것이 나의 계획은 아니었소.

 

단지 먹고 사는 일에 대부분의 시간을 바치며 살고 싶지 않을 뿐이었지요.

 

돈을 버는 방법을 아는 사람은 좀 있는 것 같은데 그 중 어떻게 써야 하는 것을 아는 사람은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지.

 

만일 쓰는 방법을 아는 사람이라면 절대로 돈 버는데 모든 시간을 바치지는 않을 것이오.

 

Q: 선생님이 월든 숲에서 혼자 사실 때 어떤 물건들을 가지고 있으셨나요?

 

A: 내가 직접 나무로 만든 침대 하나. 식탁 하나. 의자 3개, 포크 2개, 나이프 2개, 스푼 2개, 접시 3개, 청동 거울 하나, 기름 병 하나, 옻칠한 램프 하나가 전부였소.

 

Q: 선생님의 검소한 생활 방식과 자연과의 영적 교감 등은 현대 환경주의자들에게 많은 영향을 주셨습니다.

 

하지만 너무 극단적인 환경주의는 문제가 좀 있지 않을까요.

 

A : 무조건 문명을 배척하는 것은 아니고 자연을 사랑하면서 모든 생명과 서로 공존하는  자세가 가장 바람직하겠지요.

 

또 "월든" 에서도 '기차길 걷기'나  '돼지 몰이' 같은 챕터에서 볼 수 있듯이 먼저 인간에 대한 휴머니스트로서의 깊은 성찰이 있어야 합니다.

 

Q: 네, 선생님의 생활과 철학은 이후 톨스토이, 간디, 니어링이나 한국에서는 함석헌선생, 법정스님에게도 큰 영향을 끼치셨는데 특히 간디의 영적 스승이 선생님이셨더군요.

 

A: "월든"에서 나는 조로아스터교의 경전 구절을 자주 인용했어요.

 

  간디가 인도 북부의 전통 종교인 조로아스터교의 영향을 받아서 내 말에 쉽게 공감대를 형성했는지도 모르지요.

 

또 그가 "시민 불복종"을 읽고 비폭력 무저항 독립투쟁에 많은 영감을 받았다고 했어요.

 

당시 간디는 인도의 지배자 영국인들에게 " 헨리 데이빗 소로우와 같은 위대한 영적 스승이 있는데 왜 그의 가르침을 잊고 사는가" 라며 지배자 영국을 질책하였지요.

 

Q 인터뷰 감사합니다. 선생님의 말씀 중 기억에 남는 명구가 있습니다. 

 

“지나치게 도덕적인 사람이 되지 말라. 도덕 그 이상을 목표로 하라. 단순한 선함이 아니라 목적 있는 선함을 가져라.”

 

소로우 거리.png

 콩코드에 있는 소로우 거리

 

 

State
  • 현재 접속자 13 명
  • 오늘 방문자 182 명
  • 어제 방문자 625 명
  • 최대 방문자 832 명
  • 전체 방문자 165,682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